세계 심장 약리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자
우리말 의학용어 보급과 한국의학의 체계 구축
故 이우주(李宇柱)
前 연세대학교 총장 (1918~2007)
- 학력사항
-
- 경력사항
-
-
1952~198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수
-
-
-
-
- 포상
-
한국 약리학 및 기초의학의 인프라를 구축한 개척자
이우주 교수는 한국 약리학과 기초의학의 토대를 구축한 의학자이자 교육자이다.
1918년 충남 공주에서 태어난 그는 중앙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41년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를 졸업했다. 한국인 최초 약리학교실을 창설한 이세규 교수의 지도로 약리학 연구를 시작해 1950년 한국전쟁 중에 미국 국무성 인사교환프로그램 장학생으로 미국 위스콘신대학(University of Wisconsin)에서 약리학으로 1년 반동안 연수를 받았다. 귀국 후 모교인 연세대 의대교수로 부임했고, 1955년에는 서울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세계가 인정한 심장 약리학 분야의 최고 연구자
그러나 첫 유학에서 자신과 한국의 약리학 수준이 국제적인 수준과 너무 큰 차이가 있음을 느껴 다시 유학길에 올랐다. 그는 위스콘신대학에서 당시 세계적인 약리학자였던 샤이드만(F. E. Shideman)의 지도로 카테콜라민(catecholamine)이 심장활동을 조절하는 호르몬 역할을 한다는 것과 그 물질의 유리(遊離)가 강심작용을 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여 3년 만에 위스콘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다시 취득했다. 이 연구는 “Role of Myocardial Catecholamines in Cardiac Contractility”라는 제목으로 1959년 세계적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평소 기본적인 교감신경 활성도가 심혈관계 생리기능 및 질병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한 최초의 연구이자 고혈압 및 울혈성 심부전증의 병태생리 기전 및 치료 원칙의 수립에 크게 기여한 연구로 평가받았다.
이후 카테콜라민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심장에서 자율신경계 전반으로 확장되었다. 그 결과 교감신경의 기능을 전달하는 카테콜라민을 체크함으로써 심장의 이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고, 이는 세계 약리학 교과서에 인용되기도 했다. 그의 연구결과는 미국 심장협회와 약리학회, 영국 약리학회 각각이 발행하는 Circulation, J. Pharmacol, Exp. Ther, Brit. J. Pharmacol 등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의 저널에 발표된 30여 편의 논문을 포함해 국내외에 100여 편의 논문으로 발표되었다. 그리고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1960년에는 아시아지역 학자 최초로 5년간 거액($40,000)의 연구비를 받았다. 당시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160달러에 불과했기 때문에 그의 연구비 수주는 정부가 주목할 정도로 획기적인 사건이었으며, 국내 약리학 및 의학 연구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의학용어의 표준화 및 한국화와 우리말 교과서의 토대 마련
교육자로서 그는 연세대 의과대학에 세포분자생물학과 행동과학 과목을 신설하고 통합강의를 도입했으며, 임상의학 교육을 강화했다. 이를 계기로 국내 많은 의과대학이 교과과정 개편을 단행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그는 의학 용어와 우리말 교과서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영한의학사전』(1956)과 『약리학 강의』(1984)를 비롯해 『의학대사전』(1990)을 편찬했다. 특히, 『의학대사전』은 의학용어의 표준화와 한국화를 표방한 것으로 한국 의학의 체계를 세우는 데 공헌했을 뿐 아니라 현재 네이버의 의학용어 표준 데이터베이스로 채택되어 전 국민에게 의학용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의학대사전』과 『약리학 강의』는 꾸준히 개정, 증보되어 현재 『이우주의 의학사전』과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로 이어져 의학도들의 필독서이자 대한약리학회의 표준교과서로 채택되어 국내 의과대학 및 치과대학과 간호대학 등 보건의료계의 약리학 교육에 이용되고 있다.
이밖에도 그는 1947년 조선약리학회를 발족하고, 1969년 학회장을 역임하면서 약리학의 세계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1960-64년에는 연세대 대학원장을, 1975-80년에는 연세대 총장을 역임하며 교육체계의 안정화 및 세계화와 후학양성에 힘쓴 교육자로 평가받았다.
이우주 교수는 학문적 업적과 사회적 공헌으로 국민훈장 동백장, 무궁화장, 대한민국학술원 학술상, 동아의료문화 저작상 등 많은 훈장과 표창을 받았다. 그는 한국 기초의학의 초석을 다진 선구자이자 발군의 약리학 성과를 낸 세계적 연구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