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020 2019 2018 2017 제목+내용 제목 포상자명과 직책 검색어 검색 리스트 목록 故김용관 과학지식보급회 전무이사 “과학조선 건설”을 민족과제로 제시하고 과학운동을 펼치다 김용관 선생은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새로운 비전과 활로로 “과학조선 건설”을 제시하고 그 실현을 위해 대중들이 참여하는 거족적인 과학운동을 펼친 과학기술 활동가다. 그는 고난의 시기에 태어나 자란 선구적 과학기술인이다. 사실상 최초의 근대 과학기술 교육기관이라 할 관립공업전습소를 거쳐 1918년 경성공업전문학교를 1...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명예회장 과학과 사회의 융복합적 사고에 바탕하여 과학기술 및 환경정책을 이끌다 김명자 회장은 과학과 인문학의 융복합분야인 과학사와 환경학을 개척하고 과학기술 및 환경정책에서 지속가능발전 개념 도입과 전향적 해결방안을 추구한 한국의 과학기술 리더다. 해방 직전에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아버지의 영향과 조언으로 글쓰기를 좋아했고 자연과학의 길을 선택했다. 이 과정에서 남성의 영역으로 인식되는 분야... 故 안병성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을 IT 강국으로 이끈 전자통신기술의 개척자 안병성 박사는 불모의 땅에서 전자통신기술을 개척한 선구자로 우리나라가 정보통신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소, 한국통신기술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등을 두루 거치면서 전자계산기 국산화, 컴퓨터 국산화, 전자교환시스템 개발 등을 주도했고, TDX 기술개발사업, 4M ... 노승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세계 수준의 열공학 연구를 선도하고 기계공학의 국내외 교류에 기여한 석학 노승탁 교수는 우리나라 열공학 분야의 선구자이자 권위자로 2백여 편의 연구논문을 게재했으며, 35년 동안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다수의 우수한 후학을 양성했다. 공기조화냉동공학회 회장, 대한기계학회 회장, 국제열전달학술회의연합회 회장, 미국기계공학회 석학회원 등을 맡아 국내외 학술교류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는... 한문희 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한국 생명공학 및 생명산업의 정책제도 구축자 한문희 원장은 한국 생명공학 및 생명산업이 뿌리 내리는 데 기여한 인스티튜션 빌더다. 그는 생명공학 관련 법을 제정하고 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기반을 든든히 구축하고 나아가 바이오벤처의 일선에서 활약하며 생명산업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한국의 생명공학이 추격자에서 선도자로 올라설 수 있도록 최전선에서 활약한 한국 ... 故 전종휘 가톨릭대학교 교수 한국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지다 전종휘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염병 임상학자로서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진 선구적 의학자다. 1913년 함경북도 성진군에서 태어난 그는 보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경성의전에서 스승 백인제와 선배 장기려를 만나 학문뿐 아니라 종교와 생활철학도 공유하며 특별한 관계를 유지했다... 故 임덕상 전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교수 현대 대수기하학의 세계적 연구자이자 아이비리그 첫 한국인 수학교수 임덕상 교수는 재미 한국인 수학자로서 군 코호몰로지 연구, 변형이론 연구를 통해 대수기하학 발전에 기여했고,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와 필라델피아 교민회 활동을 통해 한인 과학기술계와 지역사회 교포들의 교류와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자의 길을 걸었다. 그는... 故 윤능민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유기화학의 세계적 연구를 통해 한국 화학의 위상을 높이다 윤능민 교수는 금속수소화물에 의한 선택환원 반응과 수소화금속을 이용한 유기합성 분야의 연구로 국제적 인정을 받고, 후학들을 우수 연구집단으로 육성한 선도적인 화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 평양에서 고등보통학교까지 졸업한 후... 故 국채표 전 중앙관상대 대장 한국 기상학과 기상예보의 현대적 기반을 마련하다 국채표 대장은 한국의 기상예보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한국기상학회의 발족과 한국기상학회지 창간으로 한국기상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선구적인 기상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연희전문학교 수물과와 교토제국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15년간 재직했다. 교사로 있는 동안 신문과 잡지에 과학 관련 글을 12345678
리스트 목록 故김용관 과학지식보급회 전무이사 “과학조선 건설”을 민족과제로 제시하고 과학운동을 펼치다 김용관 선생은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새로운 비전과 활로로 “과학조선 건설”을 제시하고 그 실현을 위해 대중들이 참여하는 거족적인 과학운동을 펼친 과학기술 활동가다. 그는 고난의 시기에 태어나 자란 선구적 과학기술인이다. 사실상 최초의 근대 과학기술 교육기관이라 할 관립공업전습소를 거쳐 1918년 경성공업전문학교를 1...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명예회장 과학과 사회의 융복합적 사고에 바탕하여 과학기술 및 환경정책을 이끌다 김명자 회장은 과학과 인문학의 융복합분야인 과학사와 환경학을 개척하고 과학기술 및 환경정책에서 지속가능발전 개념 도입과 전향적 해결방안을 추구한 한국의 과학기술 리더다. 해방 직전에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아버지의 영향과 조언으로 글쓰기를 좋아했고 자연과학의 길을 선택했다. 이 과정에서 남성의 영역으로 인식되는 분야... 故 안병성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을 IT 강국으로 이끈 전자통신기술의 개척자 안병성 박사는 불모의 땅에서 전자통신기술을 개척한 선구자로 우리나라가 정보통신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한국원자력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소, 한국통신기술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등을 두루 거치면서 전자계산기 국산화, 컴퓨터 국산화, 전자교환시스템 개발 등을 주도했고, TDX 기술개발사업, 4M ... 노승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세계 수준의 열공학 연구를 선도하고 기계공학의 국내외 교류에 기여한 석학 노승탁 교수는 우리나라 열공학 분야의 선구자이자 권위자로 2백여 편의 연구논문을 게재했으며, 35년 동안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다수의 우수한 후학을 양성했다. 공기조화냉동공학회 회장, 대한기계학회 회장, 국제열전달학술회의연합회 회장, 미국기계공학회 석학회원 등을 맡아 국내외 학술교류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는... 한문희 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한국 생명공학 및 생명산업의 정책제도 구축자 한문희 원장은 한국 생명공학 및 생명산업이 뿌리 내리는 데 기여한 인스티튜션 빌더다. 그는 생명공학 관련 법을 제정하고 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기반을 든든히 구축하고 나아가 바이오벤처의 일선에서 활약하며 생명산업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한국의 생명공학이 추격자에서 선도자로 올라설 수 있도록 최전선에서 활약한 한국 ... 故 전종휘 가톨릭대학교 교수 한국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지다 전종휘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염병 임상학자로서 전염병 치료 및 연구의 기틀을 다진 선구적 의학자다. 1913년 함경북도 성진군에서 태어난 그는 보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경성의전에서 스승 백인제와 선배 장기려를 만나 학문뿐 아니라 종교와 생활철학도 공유하며 특별한 관계를 유지했다... 故 임덕상 전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교수 현대 대수기하학의 세계적 연구자이자 아이비리그 첫 한국인 수학교수 임덕상 교수는 재미 한국인 수학자로서 군 코호몰로지 연구, 변형이론 연구를 통해 대수기하학 발전에 기여했고,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와 필라델피아 교민회 활동을 통해 한인 과학기술계와 지역사회 교포들의 교류와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했다. 그는 서울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자의 길을 걸었다. 그는... 故 윤능민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유기화학의 세계적 연구를 통해 한국 화학의 위상을 높이다 윤능민 교수는 금속수소화물에 의한 선택환원 반응과 수소화금속을 이용한 유기합성 분야의 연구로 국제적 인정을 받고, 후학들을 우수 연구집단으로 육성한 선도적인 화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태어났다. 평양에서 고등보통학교까지 졸업한 후... 故 국채표 전 중앙관상대 대장 한국 기상학과 기상예보의 현대적 기반을 마련하다 국채표 대장은 한국의 기상예보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한국기상학회의 발족과 한국기상학회지 창간으로 한국기상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선구적인 기상학자다. 그는 일제강점기 연희전문학교 수물과와 교토제국대학 수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15년간 재직했다. 교사로 있는 동안 신문과 잡지에 과학 관련 글을